티스토리 뷰

중도상환금액이란 대출금을 중간에 갚았을 때 발생하는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1억 원을 빌렸는데 5천만 원을 먼저 갚았다면 남은 원금인 5천만 원에 대한 이자(연이율)와 수수료 등을 내야 하는데 이를 중도상환금액이라고 합니다.

나에게 유리한 대출상환방식과 추가대출진행 안내

 

나에게 유리한 대출상환방식과 추가대출진행 안내

최근 들어 대출시장에서는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나 정부차원에서의 가계부채 안정화 정책과 더불어 금융기관에서도 다양한 상품들을 출시하면서 고객들에게 선택권을 넓혀주

sirang1128.tistory.com

 

중도상환수수료 면제받기 안내

반응형

 

중도상환수수료란 무엇인가요?

대출기간 중 만기전에 대출금을 상환하게 되면 은행에서는 고객에게 물리는 벌칙성 수수료입니다. 이는 금융기관마다 상이하며 통상 0.5~2% 수준이며 대부분 변동금리 상품에만 적용됩니다. 고정금리 상품은 처음 약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습니다.

 

중도상환수수료 면제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일정 조건 충족 시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에 확인해야 하며, 일부 은행권에서는 매년 최초 대출원금의 10%까지는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 주는 곳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도상환수수료 계산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중도상환수수료 = 중도상환금액 X 중도상환수수료율 X (잔존일수 ÷ 대출기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A씨가 2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상품을 이용하다가 1년 만에 전액 상환한다고 가정했을 때, 중도상환수수료는 얼마일까요? 우선 중도상환수수료율은 연 1.5%이고 잔존일 수는 365일, 대출기간은 24개월이므로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즉, 중도상환수수료는 150만 원(=100만 원 X1.5% X(365÷24))이 됩니다.

오늘은 중도상환수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댓글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