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동주택이란 2명 이상의 사람들이 모여사는 주택을 의미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형태의 주거공간을 주로 공동주택이라고 부르고 있어요.
전세사기 보증금 반환문제 주의사항 및 법률 도움으로 해결
전세사기 보증금 반환문제 주의사항 및 법률 도움으로 해결
최근 뉴스나 신문기사 등 각종 매체에서 부동산 관련 사기 소식들이 많이 들려오고 있어요. 특히 아파트 매매 거래 시 세입자가 집주인 행세를 하며 보증금을 가로채는 수법과 같이 주택임대차
sirang1128.tistory.com
공동주택 대출지원안내
공동주택의 문제점
이러한 공동주택은 여러 사람이 같이 사는 공간인만큼 다양한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데요, 층간소음문제라던지 흡연문제 등 이웃 간의 갈등이 생길 수 있는 요소들이 많아요.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자가 늘어나면서 소음공해 및 간접흡연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해요. 이처럼 공동주택에서의 생활 중 발생하는 불편사항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층간소음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층간소음은 벽식구조보다는 기둥식 구조(라멘조) 건물에서 훨씬 적게 발생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건축물 설계 시 라멘조 방식을 채택하면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겠죠? 하지만 이미 지어진 건물이라면 바닥재를 두껍게 하거나 방음시설을 설치해서 충격음을 줄이는 방법밖에 없어요. 또한 아이들이 뛰는 소리뿐만 아니라 성인 발소리 같은 중량충격음 역시 줄이기 위해서는 슬리퍼 착용하기, 의자 다리에 테니스공 끼우기 등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노력들이 필요하답니다.
간접흡연피해 어디까지 참아야 하나요?
아파트 계단이나 복도, 엘리베이터 안에서도 담배를 피우면 안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금연구역 지정 이후 실내 흡연 적발 건수가 매년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금연아파트라고 하더라도 세대 내 화장실, 베란다 등 일부 장소는 여전히 흡연이 가능하다는 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이렇게 비흡연자에게 고통을 주는 간접흡연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반려동물 키우는 것도 눈치 보여요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많아지면서 이로 인한 민원도 급증하고 있다고 해요. 반려견 짖는 소리뿐만 아니라 배설물 처리 미흡등으로 주민 간 갈등이 심화되고 심지어 폭행 사건으로까지 번지는 경우도 종종 일어나고 있답니다. 동물보호법상으로는 목줄 미착용, 배변봉투 미휴대 시 과태료 부과 대상이지만 실제로는 처벌 규정이 약해 단속 자체가 어렵다고 하네요. 결국 서로 배려하며 살아가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 우선되어야겠죠?
오늘은 공동주택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여러분 모두 주변 이웃과의 소통을 통해 조금 더 살기 좋은 공동주택 문화를 만들어갔으면 좋겠어요. 그럼 여기까지 공동주택 관련 정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