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동반하락 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향후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의 거래절벽 심화현상은 이러한 우려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택시장 침체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며, 부동산투자를 위한 대출상품에 대해서도 안내드리려고 하니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보도록 하자.

 

무주택자 경락잔금대출 대상 및 대출한도와 저렴한 대출이자

 

무주택자 경락잔금대출 대상 및 대출한도와 저렴한 대출이자

경락잔금대출이란 경매 낙찰 후 잔금을 대출받는 것을 말합니다. 부동산 투자자라면 누구나 관심 있는 분야인만큼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내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경락잔금대출에 대해

sirang1128.tistory.com

반응형

 

1. 주택시장 침체원인

현재 주택시장 침체요인으로는 크게 세 가지 요인을 들 수 있다. 첫 번째로는 공급과잉이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속되어 온 건설경기 호황으로 인해 2015년 말 전국 미분양 물량은 5만 호 수준이었으나 2016년 8만 호로 증가하였다. 두 번째로는 대출규제 강화 및 금리인상 기조다. 정부는 2014년 9·1 대책을 통해 재건축 규제완화, 청약제도 개선 등 각종 규제 완화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분양물량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안정화를 위해 2017년 1월부터 신 DTI(총부채상환비율) 도입, 2018년 2월부터 DSR(총체적 상환능력비율) 적용 등 강도 높은 대출규제를 시행함으로써 수요자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미국발 금리인상 여파로 국내 시중금리가 상승하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2. 앞으로의 전망

하반기 들어 입주물량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면서 수급불균형 문제가 해소됨에 따라 하락세가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까지는 여전히 초과공급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약세장 흐름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내년부터는 신규입주 감소, 재개발·재건축 이주수요 발생 등으로 인한 국지적인 상승세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