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도시 소멸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인구 감소로 인해 지방 중소도시들이 사라지는 현상을 의미하는데요, 이 문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답니다.
최근 일본에서는 빈집이 무려 710만 채나 된다고 해요. 이렇게 되면 지역 경제뿐만 아니라 치안문제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인 인구감소를 막기엔 역부족이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 속에서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아이를 낳고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부동산투자에 대해서 고려중이신 분들이라면 대출상품도 함께 안내드리니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주택자 경락잔금대출 대상 및 대출한도와 저렴한 대출이자
1. 저출산고령화시대 정확한 뜻
저출산고령화사회란 합계출산율이 1.3명 이하이고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이상인 사회를 말합니다. 즉, 출산율과 사망률이 낮아지는 반면 기대수명은 길어져서 전체 인구 중 유소년 및 노년층 비중이 높아지는 사회라고 할 수 있죠. 현재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합계출산율 0.98명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며, 2020년 이후부터는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어들게 되어 심각한 상황입니다.
2.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
결혼 후 2명의 자녀를 낳는 부부에게 주어지는 혜택임에도 불구하고 결혼 자체를 기피하는 청년세대가 늘어나면서 ‘자녀’보다는 ‘내 집마련’ 혹은 ‘자아실현’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취업난과 고용불안 그리고 주거비 부담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혼인 건수 역시 매년 줄어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출생아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3. 앞으로의 대책
정부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지원을 확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개인 스스로가 인식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시스템 개선과 더불어 육아휴직제도 활성화, 보육시설 확충 등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